(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원정 지도)


어려운지도, 재미없는 지도 말고,

대중이 좋아하는 지도 말이야..


위 지도는 나폴레옹이 러시아침공당시 군인의 수를 시계열별로 나타낸 지도이다. 점점 모스코바 (Moscou)로 갈수록 병사들이 별로 남지 않은것이 보이고, 철군할때는 원정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은 수만 남은것이 보인다.

미국에서 이 지도를 처음 보았다.

글 설명없이 보았을땐 이건 뭥미? 라는 생각이었으나, 글을 읽고 설명을 듣고나서 깊은 내용을 새삼 깨달았다.

어쨋던, 위의 지도는 어려운지도이다.


나는 지도를 만드는 사람이다.

어쩌면... 지도를 좋아하는 사람일것이다.

여러장의 테이블 데이터보다, 온갖 미사여구로 치장된 설명서나, 어려운 수식으로 설명된 공식보다, 지도한장으로 설명할 수 있기를 항상 꿈꾼다.

그래서 내가 모을 수 있는 모든 데이터와 지도로 분석할 수 있는것을 지도위에서 시각적으로 보여주길 원한다.
그리고 그것으로 내 천직으로 하길 원한다.


그런데...

생각만큼 GIS 및 지도관련 Application들이 좋은 성과를 못내고 있다.

지도 기반 앱, 위치기반 소셜 앱등.. 나오다가 흐지부지하게 된것들이 매우 많다.

지도를 하는사람으로써 참 좋은 아이디어를 많이 보게 되는데 왜 그것들이 쪽박을 칠때 안타까움이 매우 크다.



(나폴레옹 모스크바에서 철군)



단순이 이나라가 땅덩어리가 작아서 생기는 문제는 아닐것이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모르겠지만 위치를 공개하기 싫은 두려움 혹은 지도에대한 관심의 부재일 수 있다.


필자는 어떤것의 위치를 알고싶은것은 사람의 본능중의 하나라고 생각하지만,

결국엔, 지도 전문가가 혹은 GIS 전문가가 생각했을때 대박이야!라는 Application은 시장성이 없는것이다.

지도에 관심조차 없는 사람이 무심결에 사용하는 Application이 대박의 맛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을것이다.


결국엔 필자도 지도로 생계를 꾸려나가야 할 지도 모르는상황에서 산신령처럼 내가 좋아하는 지도만 만들 수 는 없을것이다 (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지도가 대중이 좋아해주고 관심을 갖는 지도가 되었으면 좋겠다).

미국에서 유학시절 지도학수업에서 교수가 이런 이야기를 했다.

"지도는 아주 과학적인 사실을 바탕으로한 예술 작품이다. 그리고 그것은 예술 작품처럼 아름다울 수 있다" 이어서,

"그리고 그 아름다운 지도는 이세상에 어떤 방식으로든 도움이 될 수 있다".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미국에서 GIS Analyst, GIS관련업이 100대 직업중에 한개로 발탁되었는데,

과연 국내에서 GIS/LBS를 공부하는 선배, 동료, 후배들이 과연 그렇게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어느순간 들었다.

간단히 말해서, 갈곳이 없다.

Daum, Naver, Google.. 모두다 IT계열 지도 서비스 업체이다.

기타 GIS 업체들이 있는것으로 알고있지만, SI업체라는 소문도 들려온다.


난, 지도를 만들고 싶은데...



파일:Jean-Léon Gérôme 003.jpg

(스핑크스 앞 나폴레옹)


길이 없다면, 내가 길을 한번 만들어보자.

사람들이 좋아하는 지도를 만들어 보는것이 당분간 내 고민거리가 될것이다.


그래도 내가 만드는 지도를 사람들이 좋아해줬으면 좋겠다.

내가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슈를 가지고 지도를 만드는것은 힘드니까..

반응형




의외로 특별시와 광역시보다 중소도시가 더 많은 규제를 가지고 있다.

규제의 절대 개수가 지자체 운영 평가의 척도가 될 수는 없지만

이번 규제 개혁에 대한 공감대가 전국 구석구석 지자체까지 전해져야만

비로소 성공적인 정책으로 역사에 남을 것이다.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등록 규제 현황



 2014년 3월 20일, 7시간 동안의 끝장 토론. 규제 개혁을 하겠단다. 부디 이번 규제 개혁의 심장 박동이 지방의 구석구석 미세혈관까지 뻗어나가 '규제 개혁을 위한 또 다른 규제'로 남는 역사가 되지 않길 바란다.

 사실 규제 개혁은 현 정권만의 외침은 아니었다. 여러가지 규제 개혁 정책이 있어왔고 또 실패해왔다. 과거 지역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수도권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었는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전 정부에서는 수도권 위주의 규제 개혁이 시행되어 반쪽짜리 규제 개혁이 되었다 . 뿐만 아니라 대기업 친화적 규제 완화 정책으로 인한 기업 간 양극화는 규제 완화 정책의 부정적인 면으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연도별 등록규제 수연도별 등록규제 수, 규제정보포털(http://www.better.go.kr/)



 규제 개혁 위원회(http://www.better.go.kr/)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1997년 IMF 이후 급격하게 줄어든 규제 등록 수는 2013년 현재까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규제 증가의 이유는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이해 상충 문제가 빈번해지고 보다 건실한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해서이기도 하다. 한편, 각 부처나 지방자치단체에서 만들어진 규제에 대한 꾸준한 관리와 추적의 노력이 부족하여 급격히 변하는 현실의 실정을 반영하지 못하는 규제 또한 산재해 있을 것이다. 현 정부가 칼을 뽑아들어 베려고 하는 것 또한 이러한 무능력한 규제이다.

 그렇다면 규제는 누가 어떻게 만드는 것인가? 한 해 동안 약 15,000개의 규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하루에 약 60개의 규제가 만들어져야 한다. 이렇게 많은 규제가 만들어질 수 있는 이유는 규제는 40여개의 중앙부처, 200개가 넘는 지방자치단체가 규제를 만들 수 있는 권한을 가졌기 때문이다. 지자체에서는 중앙정부로 부터 정책 전반에 대해 위임받은 사무가 있고 해당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각종 규제를 만든다. 따라서 중앙에서 정한 하나의 정책 혹은 규제로 인해 파생되는 지방자치단체의 규제는 다양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우리는 자연스럽게 중앙정부의 규제에 비해 지방자치단체의 규제 수가 많을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다.


* 중앙부처 등록 규제

: 행정규제 중에서도 국가(중앙부처)가 특정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국민의 권리를 제한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 법령 등(법, 시행령, 시행규칙, 고시 등)으로 규정한 규제


* 지자체 등록 규제

: 행정규제 중에서도 지자체가 국가(중앙부처)로부터 지자체에서 정하도록 위임받은 사무에 대하여 조례 또는 규칙으로 규정한 규제

(출처- 규제정보포털)


 실제로도 2014년 현재, 중앙부처가 지정한 규제는 15,306건에 달하는 반면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 중인 규제는 50,071건이 이른다. 따라서 서두에 밝혔듯이 이번 규제 개혁의 핵심은 행정부의 수장으로부터 시작된 개혁의 심장박동이 미세혈관이라 할 수 있는 최하위 지자체의 조례 하나까지 그 영향을 끼쳐 온몸으로 피가 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과연 지방지자체 중 규제가 가장 많은 곳은 어디일까? 

 시도 별로 살펴볼 때 단연 1등은 제주특별자치도(1,302건)이다. 제주도는 자연 보전과 관광을 위한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주민 생활의 상당 부분을 자치단체 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 곳이다. 따라서 경관지구의 조경에서부터 카지노 사업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규제가 등록되어 있다. 2번째는 서울특별시(423건)로 대한민국의 수도로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으로 전국 어느지역보다 복잡한 도시이다. 그 뒤를 이어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강원도, 충청남도, 부산광역시 등의 순이다.


시도 별 등록 규제 현황(단위: 건)

 전국 시도 별 규제 등록 지도


시군구 별 등록 규제의 경우, 규제를 가장 많이 보유한 지자체는 전라북도 남원시(409건), 충청남도 예산군(406건), 전라북도 정읍시(381건), 경기도 화성시(374건) 등의 순이다. 특이한 점은 시군구 별 규제 등록 현황에서 상위 100개의 지자체를 살펴볼 때, 인천광역시 부평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도 지자체 내의 시 혹은 군 지자체라는 사실이다. 특히, 충청북도와 전라북도, 강원도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규제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전국 시군구 별 등록 규제 지도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시와 서귀포시는 도 단위로 통합관리하는 것으로 판단)


 결과적으로 압도적인 수로 제주도가 가장 많은 규제를 가지고 있다. 제주도를 제외할 경우, 상위 지자체의 규제를 포함하여 가장 많은 규제가 등록된 시군구 지자체는 충청남도 예산군이고 강원도 평창군, 전라북도 남원시, 강원도 삼척시, 충청남도 아산시와 서천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경우 성동구가 전국 14번째로 많은 규제를 가지고 있고 그 뒤를 마포구(18번째), 양천구(22번째), 동대문구(25번째), 서대문구(26번째) 등이다.

 자료조사를 하면서 의외로 특별시와 광역시보다 중소도시가 더 많은 규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물론 규제의 절대적인 수가 지방자치의 질을 평가하는 잣대가 될 수는 없다. 이 포스팅 또한 어느 지자체가 무분별하게 규제를 많이 많들었나를 판단하고자 함이 아니다. 숫자나 활자로만 접하던 규제의 수를 지도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이번 규제 개혁에 관심을 가지는 누군가에게 새로운 이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반응형



원전 가동 중단이 내 책임인가?!

전기비 꼬박 꼬박 내고 있는데, 왜 나만 가지고 그래??


여름이 곧 다가온다, 올 여름도 제작년, 작년과 같이 전력난이 예상된다. 2012년 여름이 그랬고, 2012년 겨울이 그랬고, 2013년 여름이 그랬고, 2013년 겨울이 그랬다. 2014년 여름이라고 다를것 같지 않다.


뉴스에서는 매일 전력난이 예상되니 전기를 아껴 쓰자, 전기낭비하면 벌금을 때리겠다는둥 정부에서 갖은 협박을 언론을 통해 내비추었다....


각설하고


나는 외국에서 쭈욱 살다가 2012년 8월에 귀국했다. 그때 당시 나는 '청라'신도시라고 불리는 곳에 살고있엇다. 부동산경기의 침체에 따라 분양이 생각보다 되지 않은 까닭에 도시는 평화롭기 그지 없었다. 유동인구가 거의 0인 그곳에서 (상권정보시스템 혹은 Biz-Gis의 xRayMap의 유동인구 분석으로는 아예 조회자체가 되지 않음) 아무도 다니지 않는 길에 외로이 땅바닥을 비추는 가로등을 보게 되었다.

가로등의 배광범위를 지도위에 올리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쓸데없이 낭비되는 전기를 줄이자, 그리고 그 전기를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면 모두다 행복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그래서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가로등 데이터를 CAD로 구하였다.

Georeferencing 등등 필요한 모든 방법을 사용하여 간신히 CAD 도면에 좌표정보를 입력하였다.

관악구 낙성대동부근 가로등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좀더 자세한 실험을 위해서 아래와 같이 높이와 갓의 모양, 가로등의 높이, 그리고 사용된 전구에 따른 배광곡선을 그려야 한다.


Untitled.png

배광곡선을 그린후, 가로등이 난잡하게 있는지역 그리고 쓸데없이 배광곡선 (배광범위)가 중첩되있는 지역.. 그러한 부분은 다시한번 지자체에서 고려해야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부분은 아직도진행중이지만, 곧 실험을 마무리 지려고 한다.

사회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는 지도. 그 지도가 내가 만들 고 싶은것이 아닌가?


PS: 실험이 완료되면 "왜 나만 가지고 그래? -2" 로해서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겠다.


반응형




2009년 우연히 읽은 에세이를 통해

20대 나의 Lifework가 정해졌다.

. Space . Humanity . Love .




100개 이상의 섬이 떠있다는 타이의 팡가 만.

눈이 부시게 파란 하늘 밑, 작은 보트로 평화로운 바다를 떠돌다 

몇 갠가의 섬에 발을 내딛는 작지만 즐거운 모험.

 

함께 배에 탄 커넬 샌더스 같은 아저씨는 

'끙~'하면서 내 옆자리에 앉더니 갑자기 질문을 던진다.

 

'자네의 라이프워크는 뭐야?'

 

이름도, 국적도, 직업도 아닌, 이 아저씨는 'Lifework'를 제일 먼저 물었다.

 

라이프워크. 자신의 일생을 걸고 쫓는 테마.


- Love&Fee. 다카야시 아유무



2009년 제대 직후 어느 때보다 혈기 왕성하고 의욕 넘치는 시절 우연히 읽은 에세이를 통해 나의 Lifework를 정했다. 그때의 각오가 대단했는지 다행히 지금까지 변함없이 그 선택에 후회하지 않고 크고 작은 노력을 하고 있다. 비록 타자의 눈에는 나의 이런 행동들이 커다란 기회비용을 지불하는 의미 없는 몸부림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어찌됐건 매 순간의 선택과 노력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이 공간은 방대하고도 추상적인 세가지 명제 중 Space(공간)에 관한 나의 '몸부림'으로 채워질 것이다. 시작은 이렇게 했지만 그 끝은 알 수 없다. 어떤 식으로 내 안의 에너지가 이 공간을 채워 엔트로피를 높일지 기대되고 걱정된다. 나를 아는 오프라인 상의 사람들이 온라인 상의 '나'를 접하게 되면 약간 닭살 돋을지도 모르겠다. 내 주변에는 나에게 아낌없이 조언해줄 수 있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실력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공간은 GIS의 실력자가 아닌 사람이 또 다른 그런 사람에게 GIS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자 만든 공간이므로 약간의 부끄러움은 감수하기로 했다.

반응형

+ Recent posts